안데르센상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s http://www.ibby.org
국제 아동 도서협의회(International Board on Books for Young People. IBBY)에서 주관하는 어워드이다. 1956년부터 짝수 해에만 수여되고 있으며 일러스트레이션 부문은 1966년부터 수여되었다. 세계의 어워드 중에서도 상당히 받기 어려운 상으로 그림책의 '노벨상'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상은 책 한권에 주는 상이 아니라 한 작가의 평생동안의 작업에 대한 상이기 때문입니다. 2년에 한번 짝수 해에만 수상을 하는 이 상은 단순히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영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KBBY 를 통해 매회 후보를 내고 있지만 아직 이 상을 수여하기에는 갈 길이 먼 듯 합니다. 그래도 언젠가 우리나라에 안데르센상의 영예를 얻는 작가가 나올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 상을 받게 되는 작가는 금메달과 증서를 받고 매년 발행하는 안데르센 어워드 도록과 IBBY에서 주최하는 행사에 참여하게 된다. 무엇보다 이 상을 받는다는 것은 일러스트레이터에게는 생애 최고의 영예이며 스스로의 작업을 인정받았다는 증명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사로 직접 응모할 수는 없으며 한국 지부 (KBBY)의 추천을 받으면 심사를 통해 결과를 알 수 있다. 안데르센 어워드는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으며 결코 차별은 없다.
역대 안데르센상 작가리스트
2018 |
| 에이코 카도노는 1935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10살이었을 때 세계 2차 대전이 발발하여 한동안 일본 북부로 대피했다고 한다. 그때의 기억들이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라스트 런(Last run,2011)이며, 어린 시절 전쟁의 경험은 평화와 행복을 향한 그녀의 헌신을 담은 작품의 뿌리가 되었다. 그녀는 미국 문학을 공부한 후, 북미와 남미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광범위하게 여행하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그림책, 유치원생들을 위한 책, 청년들을 위한 책, 에세이 소설 등 거의 200여편의 원작을 출판했으며, 레이몬드와 딕 브루노의 작품을 포함한 외국 작가들의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지금은 일본에서 그림책과 동화를 쓰고 있다. <키키의 마녀 수업>으로 소학관 문학상과 노마 아동문예상을 받았고, 이후 오분샤 아동문학상, 산케이 아동출판문화상 대상 등을 수상했다. 대표적 글책으로는 <난 병이 난 게 아니야>, <키키의 마녀 수업>, <보물찾기는 힘들어> 등이 있다. | |
2018 | | Igor Oleynikov (이고르 올레이니코프) - 러시아 |
2016 |
| Cao Wenxuan (차오원쉬엔) - 중국 차오원쉬엔은 1954년 1월 중국 장쑤(江蘇) 성에서 태어났다. 현재 중국작가협회 전국위원회 의원, 베이징 시 작가협의회 이사, 베이징 대학 중문과 교수이며,중국의 대표적인 아동문학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많은 작품들이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 번역 소개되었다. 『산양은 하늘풀을 먹지 않는다』로 제3회 쑹칭링 문학상 금상을 수상했고, 『쪽빛꽃』과 『상상의 초가 교실』로 빙신 문학대상을 수상했다. 그밖에도 중국작가협회 아동문학상, 국가 도서상 등 중국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며 문학적으로 뛰어난 평가를 받고 있으며 2004년에는 안데르센 상의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
2016 |
| Rotraut Susanne Berner (로트라우트 수잔네 베르너) - 독일 |
2014 | Nahoko Uehashi - 일본 | ||
2014 | Roger Mello (로저 밀러) - 브라질 |
2012 | Maria Teresa Andruetto (마리아 테레사 안드루에토) - 아르헨티나 | ||
2012 | Piter Sis (피터시스) - 체코
|
2010 | David Almond (데이비드 알몬드) (1951~ ) - 영국
| ||
2010 | Jutta Bauer (유타 바우어) - 독일
|
2008 | Jurg Schubiger (요르크 슈비거) - 스위스 1936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나 독일 문학과 철학을 공부한 뒤 1980년부터 심리 치료사이자 작가로 일해 왔다. 1996년 『세상이 아직 어렸을 때』라는 책으로 독일 아동 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젠 밤이 무섭지 않아!』는 최종 수상 후보작이었다. 또한 2008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은 전 세계 70개 나라의 작가들을 대상으로 2년마다 최고의 아동 문학 작가에게 주는 상이다.
| ||
2008 | Roberto Innocenti (로베르토 인노첸티) - 이탈리아
|
2006 |
| Margaret Mahy (마거릿 마이) (1936 ~ ) - 뉴질랜드 1936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 때부터 이야기를 지어내며 글을 쓰기 시작한 그녀는 책을 좋아해 웰링턴에 있는 뉴질랜드 도서관 학교를 졸업한 후 오랜 기간 동안 도서관 사서로 일했다. 그리고 1980년부터 본격적으로 아이들을 위한 글을 쓰기 시작해 지금까지 무려 120여 권의 책을 출간했고, 이 책들은 수십 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 소개되었다. 2006년에 안데르센상, 1982년과 1984년에 각각 『유령 출몰 The Haunting』과 『전환 The Changeover』으로 카네기 상을 수상했다. 그밖에 뉴질랜드 도서관 협회에서 주는 에스더 글렌 상, 이탈리아 프리미어 그라피코 상, 네덜란드 실버 펜슬 상을 받는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1993년에는 어린이 문학에 기여한 공으로 뉴질랜드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메모리 Memory』, 『우주의 카탈로그 The Catalogue of the Universe』, 『트릭스터 The Tricksters』, 『밑을 달리는 자들 Underrunners』 등이 있다. 현재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근처에 살고 있다.
| |
2006 | | Wolf Erlbruch (볼프 에를브루흐) (1948 ~ ) - 독일
|
2004 |
| Martin Waddell (마틴 워델) - 아일랜드 영국에서 태어나 일찍 학교를 그만두고, 여러 직업을 거친 후 동화 작가로 정착했습니다. 작가는 자신의 그림책에 대해 “외로움이나 공포, 용서 같은 매우 큰 감정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아주 작은 사람들도 이런 큰 감정을 느끼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작가는 자신의 책에 작은 사람들이 느끼는 이런 큰 감정을 다루어 왔습니다. 작가가 이런 내용에 주목하게 된 것은 실제로 겪게 된 무시무시한 사건 때문이었습니다. 작가는 1969년 벨파스트 교회에서 일어난 폭발 사고로 심한 상처를 입었습니다. 그래서 아내가 일을 하는 동안 작가는 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며 지내야 했습니다. “그때 저는 아이들의 엄마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야 제가 어린이책을 위한 글감 한가운데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원래 어른들을 위한 글을 쓰던 작가는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린이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책을 100권 넘게 썼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시적인 언어와 탄탄한 이야기 구성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잠이 안 오니, 작은 곰아?』로 1988년 스마티즈 북 상,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 1989년 어린이 도서 비평가상을 받았습니다. 또한『어둠 속의 공원』으로1989년 쿠르트 마슐러 상,『옛날에 오리 한 마리가 살았는데』로 1991년 스마티즈 북 상,『숨어 있는 집』으로 1991년 스미스 일러스트레이션 상을 받았습니다. 2004년에는 안데르센 상을 받았습니다. 작가는 현재 북아일랜드에서 아내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 |
2004 | | Max Velthuijs (맥스 벨트하우스) - 네덜란드
|
2002 |
| Aidan Chambers (에이단 체임버스) (1934~ ) - 영국 http://www.aidanchambers.co.uk 덜햄주의 체스터 르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13살때 만난 선생님에게 문학의 재미와 소중함에 대해 배워서 세익스피어 연극과 D.H 로렌스 소설에 감화를 받아 문필가가 되려고 결심하였다. 그러나 작가로의 길은 만만치 않았다. 해군에 근무한 후 그라마 스쿨에서 영어와 연극을 가르치는 한편, 영국 국교회 수도사로 4년간 근무하였다. 66년에 아동극 각본을 집필하면서 유령이야기를 모은 단편집과 따돌림을 당하는 소년소녀 이야기 등을 출간하였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Breaktimw (1978) 를 비롯한 6부작 청소년 소설이다. 각각 독립된 소설이지만 테마는 일관성이 있다. 어느 작품에서나 청소년기의 중대한 문제를 소재로 삼아서, 17살 청년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이제까지 금기되어온 테마에 초점을 맞췄따. 다섯 번째 작품 Postcards from No mAN'S lAND (1999) 로 카네기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체임버스는 영국에서 아내 낸시와 함께 살면서 집필 활동과 더불어 세계 여러 나라에 문학 강연을 하고 있다. 국내에 소개된 체임버스의 저작으로는 『내 무덤에서 춤을 추어라』가 있다.
| |
2002 | | Quentin Blake (쿠엔틴 블레이크) (1932 ~ ) - 영국
|
2000 |
| Ana Maria Machado (안나 마리아 마샤도) (1941 ~ ) - 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로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화가로 출발했지만 나중에 로맨틱한 표현을 습득하고 국국,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공부하였다. 저널리스트로 활약하고 대학에서 교편도 잡았다. 영국에서 살았던 경험도 있으며 이러한 모든 체험이 작가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1969년부터 창작을 시작해 그림책, 단편, 소설, 희곡, 시, 논픽션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 대상도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폭넓다. 질필 활동뿐만 아니라 어린이 책에 관한 여러가지 활동을 통해 브라질에서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높였다. 아동문학 작품을 쓰기 시작했을때 브라질은 군사독재정권이 최고로 강했으며 옛날이야기와 생활동화는 해가 없는 작품이라도 거부되었다. 그러나 독자는 작품을 읽고 권력, 부정, 차별에 대한 그녀의 질문을 이해하였다. 또한 그녀의 작품은 난해한 소재도 유머와 넌센스로 때로는 재미있는 언어 놀이로 표현하여 질 높은 문학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
2000 | | Anthony Browne (앤서니 브라운) (1946 ~ ) - 영국
|
1998 |
| Katherine Paterson (캐서린 파터슨) (1932 ~ ) - 미국 1932년에 중국에서 미국인 선교사의 딸로 태어났다. 40년에는 제 2차 세계대전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미국은 캐서린에게 낯선 나라로 느껴졌다. 그래서 그 고독을 풀려고 독서에 파묻혔다고 한다. 타인을 받아들이는 인간성과 국경을 초월한 우정, 인간의 굴레를 그린 것은 틀림없이 어린 시절의 배경과 체험을 바탕으로 희망을 믿는 강한 신념이 담겨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선교사 아버지와 함께 해외생활을 거친 후 작가활동에 입문, 여러가지 테마에 몰두하면서 이야기성이 풍부하고 예리한 통찰력으로 아이들의 내면과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그려내었다. 친구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 아이의 성장을 그린 뉴베리상 수상작 <테라비시아에 걸린 다리> 와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가족 문제를 제기한 <까마귀 가족> 등 그녀가 그린 등장인물들의 인생에는 끊임없이 엄숙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다. 단순히 해피 엔드가 아닌 고난과의 직면을 거쳐야만 희망이 탄생함을 훌륭하게 그려내었다.
| |
1998 | | Tomi Ungerer (토미 웅거러) (1931 ~ ) - 프랑스
|
1996 |
| Uri Orlev (우리 올레브) (1931 ~ ) - 이스라엘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의사 가정에서 비교적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지만 제 2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유대인 박해라는 불행한 사건으로 자신이 유대인임을 알았다. 아버지는 연행되고 어머니는 총살을 당해서 2살 아래인 동생은 숙모에게 맡겼따. 여기저기로 숨어 지내다가 결국 안네 프랑크도 보내진 베르겐 벨젠 강제수용소로 갔다. 다행히도 전쟁이 종결되어 연합군에게 구출, 키브츠에서 생활한 후 작가활동을 시작하였다. 독일 점령 하의 폴란드를 무대로 수용소에 보내진 사람들의 행렬에서 도주한 소년의 나날을 그린 <벽의 건너편 거리>를 비롯한, 벽의 안과 밖으로 전개되는 사람들의 저항운동을 포착한 <벽의 맞은편에서 온 남자> 등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계속해서 그려냈다. 그는 한결같이 아이의 일상적인 상상력과 희망, 강함과 의젓함, 그리고 예민한 감성을 조명하고 있다. 아이의 생기발랄한 감성을 간직할 수 있는 세계, 놀라움과 기쁨, 불안과 탐험심 등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아이만의 독자적인 영역은 그의 작품 속에서 숨쉬고 있다.
| |
1996 | | Klaus Ensikat (클라우스 엔지카트) (1937 ~ ) -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10대 중반에 그래픽 디자이너의 연습생이 되고, 54년 동 베를린 공예미술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 레터링, 사식, 인쇄술을 공부하였다. 이것이 그림책 창작의 기반이 되었다. 거기에 독창적인 발상이 더해지면서 중후한 색으로 그린 인물과 동물, 풍경은 상상력이 넘쳐흐르고 있다. 그림책은 자신이 직접 레터링한 우아한 장식 문자를 넣어 예술적 가치를 높였다. 그래픽 디자인 일을 한 후 60년대 초부터 잡지에서 그림을 그리다가 1961년부터 1965년까지 공예미술대학에서 가르쳤고 이후 베를린에서 그림책 창작에 온 힘을 기울였다. 까마귀부리 혹은 깃털로 그린 그림은 마치 판화라고 생각될 정도로 섬세한 수채화로 그린다. 그림은 글보다 용이하게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자유롭게 비상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페로, 그림형제, 리아 등의 고전 작품을 주로 그린다. 1995년부터 함부르크에 있는 공예미술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BIB 세계원화전 그랑프리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
1994 |
| Michio Mado (마도 미치오) (1909 ~) - 일본 야마구치현 도쿠야마에서 태어났다. 5살때 타이완으로 부임한 아버지를 따라 어머니, 형, 동생이 일본을 떠나 4년 동안 할아버지와 지냈다. 당시의 고독한 생각이 산문시 '어린 시절의 봄날을 떠올리며' 와 '소년의 하루' 등을 짓게 하였다. 그 후 초등학교 4학년때 가족이 있는 타이완으로 가서 타이완 대북공업학교 토목과에 입학해 동인지를 발행해서 시와 단문을 발표하였다. 34년 '어린이 나라' 에 투고한 동요가 기타하라 시라아키에게 인정받은 것을 계기로 어린이 시와 동요 창작에 힘을 쏟았다. 패전 후에는 '차일드 북' 편집을 거쳐 집필생활에 들어가 첫 번째 시집 <튀김> 으로 댜간아동문예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은 동요 '코끼리'를 비롯해, 미치코 황후가 선택해서 영어로 번역한
| |
1994 | | Jorg Muller (요르크 뮐러) (1942 ~ ) - 스위스
|
1992 |
| Virginia Hamilton (버지니아 하밀튼) (1936~2002) - 미국 오하이오주 옐로우 스프링스에서 태어났다.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체로키족 인디안의 피를 받아 민족 의식을 소재로 한 아동문학에서 어린이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역사, 인종 문제를 그려 낸 뛰어난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외할아버지는 1850년대 말에 남부에서 도망간 노예였다. 어린시절부터 몇 세대에 걸친 가족의 역사를 경험한 성장 환경뿐만 아니라 역경을 헤치며 살아온 외할머니와 어머니 이야기는 노예 시대의 자유를 향한 희구와 인종 역사를 의식한 계기가 되었다. 일찍이 습작한 단편을 새롭게 장편으로 출판한 첫 번째 작품 <나는 여왕을 보았어요> 로 인정받은 후 30권 이상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문제를 고민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작품 속에서 시 또는 문학 언어로 추구하였다. 새로운 테마와 시점으로 아동 문학을 새롭게 개척했으며, 뛰어난 이야기성과 독창성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 |
1992 | | Kveta Pacovska (크베타 파코브스카) (1928 ~ ) - 구 체코슬로바키아
|
1990 |
| Tormod Haugen (토르모드 하우겐) (1945 ~ ) - 노르웨이 오슬로의 북동쪽, 스웨덴 국경 근처의 산림지대 트리실 마을에서 태어났다. 오슬로대학에서 문학과 미학을 공부하고 무크 미술관에서 근무한 후 문필활동에 전념, 국내 다수의 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어린이 책 작가이다. 더욱이 노르웨이에서는 처음으로 국제 안데르센상을 수상하였다. 토르모드는 치밀한 구성과 밀도 높은 작품으로 인생이라는 커다란 테마를 정면으로 파악해 질 높은 어린이 문학의 소재를 한 단계 높여주었다. 그의 작품은 이해심이 부족한 어른과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밤의 새>를 시작으로 다른 작품에서도 아이들의 내면을 깊게 비추어 무력감, 고독, 슬픔, 불안, 강인함, 상상력과 함께 삶의 과정에서 어린 시절이야말로 기쁨과 슬픔이라는 감정의 원점이 되고 있음을 전달하고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 문체에 도전하는 등 높은 문학성과 시적인 언어로 구축된 창조적인 작품 세계는 독특하며 참신하다. 또한 현대 작가로의 자질을 훌륭히 갖추고 있다고 주목받고 있다.
| |
1990 | | Lisbeth Zwerger (리즈벳 츠베르거) (1954 ~ ) 오스트리아 판화가의 딸로 비엔나에서 태어났다. 예술적인 가정에서 자랐다. 학교를 싫어하는 아이였으나 어릴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이 좋아 미술 아카데미에서 공부하였다. 23살 때 <신비한 아이> (호프만 글) 로 작가로 데뷔하였다. 섬세한 글과 차분하고 아름다운 선으로 그려진 그림은 우아한 분위기를 갖고 있으며 그래픽적인 맛은 안데르센과 그림형제, 하우프 등 동화 그림책에 많은 활동을 했다. 숲 등의 배경은 희미하게 처리하거나 없애서 등장인물을 강조하는 수법은 동화의 세계를 보다 더 몽상적인 세계로 만들어주어 폭넓은 연령대의 사랑을 받고 있다. 전통문학의 작품과 고전작가의 작품을 좋아하여 주로 했다. (티루. 오이겐수삐겔)와 (슈토룸)의 어린이 이야기에는 장식적이며 수려한 그림으로 그렸다. 색으로 어른 아이의 성격을 나누어 실험한 새로운 수법을 도입하였다. 볼로냐그래픽 대상 등 각종 중요한 여러 상을 수상하였고 남편은 영국출신의 그림책 작가 존 로우이다. |
1988 |
| Annie M. G. Schmidt (애니 M.G. 슈미트) (1911~1995) - 네덜란드 네덜란드 남쪽 섬 베페란드에 있는 카페레라는 도시에서 목사인 아버지와 이야기를 좋아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의 사이가 안 좋아서 고독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는 이처럼 어두움에 갇힌 생활 속에서 홀로 이야기를 읽고 글을 쓰게 되었다. 14년 동안 도서관원 생활을 거쳐 1946년에 '애완동물 패트롤' 지의 편집일을 하면서 우연히 쓴 시가 위트가 넘치고 익살스러운 유머로 평판이 난다. '애왕동물 패트롤' 지에서 '어린이 페이지' 에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와 시, 에세이를 발표하였다. 그녀는 도서관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고 읽고 싶은 지 숙지하여 수준높은 유머와 현실에 맞는 능숙한 묘사력을 발휘해서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첫 번째 시집 Het fluiketeltje en andere versjes 에는 자유와 혁명을 희구하는 정신이 담겨있으며 부르주아적인 사회 현실을 웃어넘길 수 있는 익살스러운 풍자로 표현하였다. 국내외 다수의 상을 수상, 네덜란드에서는 처음으로 국제 안데르센상을 수상하였다.
| |
1988 | | Dusan Kallay (두산 칼라이) (1948 ~ ) - 구 체코슬로바키아
|
1986 |
| Patricia Wrightson (파트리시아 라이트슨) (1921 ~ )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리즈모어에서 태어났다. 뉴사우스웨일스 교육국 발행의 주간지 '스쿨 매거진' 편집자를 거쳐 작가활동을 하였다. 그리 많은 작품을 쓰지는 않았다. 지능 장애 소년을 주인공으로 한 <나는 레이스장의 지주다~> 는 현실에서 무언가를 질문하는 뛰어난 리얼리즘 문학으로 일약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 후 환타지 작가로도 재능을 발휘해 <별에게 소리치는 바위 나르건> 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을 소재로 새로운 오스트레일리아 문학을 탄생시켰다. 다채로운 작품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지가 가진 판타지의 가능성을 문학 세계에서 개척한 공적이 크다. 오스트레일리아인으로는 처음으로 국제 안데르센상을 수상해서 더욱 높이 평가받았다. 판타지 작품을 비롯해 이야기의 원천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신화와 전설을 편찬하는 등 왕성한 집필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 |
1986 | | Robert Ingpen (로버트 잉펜) (1936 ~ ) -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태어났으나, 가까운 해변마을 절롱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그래픽디자이너 삽화가로 활동중이다. 빌딩의 대벽화와 우표 디자인 등도 하였다. 연방과학산업연구소와 국제연맹에서 일한 적도 있다. 관광과 레크리에이션 진행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며, 환경과 사적 보호에도 열심이다. 어린이 그림책에 삽화를 그린 것은 <폭풍 소년> (콜린티엘 글) 이 처음이다. 넓고 외로운 해변과 펠리컨을 사랑하는 고독한 소년의 그림은 바로 국제적인 평가를 얻었다. 그는 그림을 통하여 오스트레일리아 특유의 환경, 특히 해안, 강, 시골에 대한 그 자신의 깊은 애정을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자연을 보는 눈이 정밀하고 묘사를 정확하게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요정> (엠우드 글) 은 씩씩한 상상력의 소산이며 지하의 작은 요정들이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부드러운 색조로 정성스럽게 그려내고 있는 흥미진진한 작품이다. <공곰이와 곰돌이> 에서 그려진 인형 곰은 따뜻한 분위기에 둘러싸여진 생노병사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
1984 작가상 |
| Christine Nostlinger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 (1936 ~ ) - 오스트리아 순수한 도시 비엔나에서 태어나, 현재도 가족과 함께 비엔나에 살며, 비엔나 방언을 살린 왕성한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다. 어른의 소시민적인 좁은 생각을 비판하며ㅡ 항상 아이 편에 서서 만들어낸 새로운 작품들은 자유 분방하며 해방감이 넘친다. 평이하고 자유로운 문장은 거슬림 없이 밝다. 비엔나 공예미술대학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배운 후 신문, 방송일 등에 종사하였다. 70년에는 빨간 머리 아이의 고민을 그린 최초의 어린이 책 Die Feuerrote Friederike 를 출판하였다. 그 후 그림책, 아동책, 청소년책을 집필하는 등 폭넓게 활약하며 작풍도 판타지, 리얼리즘 등 다양하다. 아이를 괴롭게 하는 세상에 대한 분노는 진지하지만 표현은 위트와 유머로 넘친다. 그녀는 사회적인 메시지를 즐겁게 이해해서 받아들이는 것이 희망이므로 글을 쓰는 목표가 계몽과 휴머니즘이라고 이야기한다. 지지와 억압과의 투쟁을 판타지로 쓴 <오이대왕>로 73년 독일 아동도서상을 수상하였다.
| |
1984 화가상 | | Mitsumasa Anno (안노 미쯔마사) (1926 ~ ) - 일본
|
1982 |
| Lygia Bojunga Nunes (리지아 누네스 ) (1932 ~) -브라질 브라질의 남쪽에 있는 페로타스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농장에서 보냈다. 19살 때 아마추어 극단에 들어가 여자 배우가 되어 국내의 여러곳을 돌아다니며 공연을 하거나 TV에 출연하였다. 1971년 어린이 책을 쓰기 시작, 첫 번째 작품 Os colegas는 원고 단계에서 국립도서연구소 콘테스트 1등을 차지하며 출판되었다. 어렸을 때 자연, 특히 동물과 친하게 지낸 경험이 누네스의 창작에 영향을 끼쳤다. A casa da madrinha <수녀의 집>은 아이들이 어른의 동물학대에 대해 분노가 폭발하는데, 아이들의 마음을 적극적인 감성으로 일깨웠다. 지방의 교육시설 부족을 통감하여 학교를 창립한 바탕으로 식자 문제와 가정의 경제를 돕기 위해서 학교를 그만둔 소년의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상상력을 무기로 맞서며, 고통을 받으면서도 사회개혁에 꿈을 꾸는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의 곤란한 세계를 그리고 있다.
| |
1982 | | Zbigniew Rychlicki (즈비그니에프 리치리츠키) (1922~1989) - 폴란드
|
1980 |
| Bohumil Riha (보후밀 리하) (1907 ~ 1987) - 구 체코슬로바키아 남보헤미아 지방 보치체에서 대장간의 아들로 태어났다. 교육학을 전공한 후 오랫동안 지방의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40년이 지나고 나서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전개해 지방 농민생활을 제재로 한 장편소설과 아동문학을 쓰며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56년부터는 작가와 국립아동도서출판소 (현 알바트로스)의 소장을 지내며 다수의 훌륭한 어린이 책 출판을 하였다. 그 후 작가 생활에 전념한다. 남자 아이 혼지크가 할아버지, 할머니가 있는 시골 프라하에서 혼자 기차여행을 하며 새로운 농촌 생활을 경험하게 되는 <혼지크의 여행>과 체코 소년단 피오닐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 <우리는 선장>, 비테크를 주인공으로 한 3부작 시리즈 등이 있다. 그의 뛰어난 문예성과 모든 작품에 일관해서 흐르는 휴머니즘은 독자와 비평가를 매료시켰다. 기본적인 인간의 가치는 외부의 자극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와의 싸움과 괴로움을 통해서 길러지는 것이며, 인간의 자기형성은 아이의 자기발견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
1980 | | Suekichi Akaba (아카바 수에키치) (1910 ~ 1990) - 일본 동경 간다에서 태어났다. 일본화를 1년 정도 공부한 후 독학으로 그림공부를 하였다. 1932년 구 만주(현재 중국 동북)에 건너갔다. 초산자의 <어린이의 나라>를 만나고 글미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중국 그림지 인형극에 흥미를 갖고, 소책자인 <그림자 연극이야기>를 출판하였다. 1947년 일본의 패전으로 일본에 돌아오게 도니다. 1949년부터 미국 민각정보 교육국에 근무하면서 동시에 일본 그림책을 연구하여 1961년에는 첫 작품으로 <카사지 조우>를 세타 테이지 글로 출간하였다. 전통적인 수묵화로 야마토 그림을 연구하여 민화와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은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얻고 이싿. <디이쿠와 도깨비 로쿠>,<모모타로>(마쓰이 다다시 글), <두루미 아내>(야기와 수미코 글)등의 일본 옛이야기를 비롯해서 넓은 가로지면을 사용한 스케일 큰 <수호의 하얀 말>(오츠카 유우조 글), <별이 된 용의 칼퀴>등의 작품이 있다. <수호의 하얀 말>은 몽골에 전해지는 악기 마두금의 전설을 전하는 슬픈 이야기이다. 그림책의 형태를 잘 활용하여 효과적인 화면전개가 드라마틱하게 전개되어 감동을 준다. |
1978 작가상 |
| Paula Fox (필라 폭스) (1923 ~ ) -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스페인인이고 아버지는 작가 팔르H.폭스이다. 8살 때 부모님이 헤어져 쿠바에 사는 할아버지밑에서 자랐다. 11살 때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부모님과 만나지 않고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아홉 번이나 학교를 옮기는 생활을 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신문사와 철강회사 등에서 일을 했으며 대학 졸업 후에는 교사가 되었다. 작품을 쓰기 시작 한 것은 마틴 그린바그와 재혼하고 나서이다. 처음에는 어른을 대상으로 한 단편과 TV용 각본 등을 손수 집필하였다. 1966년에 아동문학의 첫 작품인 <모리스의 보물>을 발표하고, 계속해서 아동문학을 쓰게 되었다. 흑인 소년의 일일 체험과 심리를 그린 <바빌론까지는 몇 마일>, 그리고 노예제도를 취한 역사 소설 <춤추는 노예들>로 뉴베리상을 수상한다. <외눈 고양이>로 89년도 국제 안데르센상 본상 리스트에 선발되는 등 팔라의 창작활동은 국내외의 주목을 받았다.
| |
1978 화가상 | | Svend Otto S (스벤 오토) (1916 ~ 1996) - 덴마크
|
1976 작가상 |
| Cecil Bodker (세실 보드커) (1927 ~ ) - 덴마크 유틀란드 반도 프레데리시아 근처에서 태어나 오 남매와 함께 성장해, 10살 때 최초의 시를 지었다. 그 후 낮에는 은세공 공방에서 50명이나 되는 남성들과 함께 기술을 습득하고 밤에는 기술학교에 다니며 열심히 공부하였다. 48년에 은세공사로 독립, 일을 하는 한편 서정시를 많이 썼다. 55년에 시집을 발표해서 작가로 데뷔한 이래, 어른을 대상으로한 단편, 소설, 라디오, TV극 각본을 썼다. 61년에 여러 가지 불안의 형태를 극명하게 그린 단편집 Oejet로 비평가상을 수상하였다. 이 중에는 이미 아이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 포함되었다. 최초로 쓴 아동문학 <시라스와 검은말>은 자유를 동경해서 작은 배에 탄 방랑족 앞에 나타난 소년 시라스가 탐험에서 만난 사람들의 따뜻함을 느끼며 성장해 가는 이야기이다. 속편이 계속해서 발표되어, 소년에서 청년으로 성장하는 시라스와 그 친구들을 그린 한편의 대작이 되었다. 솔직한 문체와 등장인물은 어떤 일에도 굴하지 않는 자유와 독립에 대한 바람을 나타낸다.
| |
1976 화가상 | | Tatjana Mawrina (타자나 마우리나) (1902 ~ 1996) - 구 소련 구 소련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소녀 시절부터 러시아 민족 예술의 풍부한 유산에서 강렬한 인상을 받아 창작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모스크바에 있는 고등미술공예공방 회화부를 졸업하였다. 그림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한 것과 동시에 책의 삽화와 장식 문자에 깊은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끝없이 넓은 러시아의 자연 주제로 오래된 시대릐 마을과 대지의 냄새가 듬뿍 풍기는 민중성을 잘 활용하였다. 구도와 색채가 대담하며 인물과 풍경이 뛰어난 작품은 <마티스에 대적할만하다>라고 불리기도 한다. 어린이 책으로는 러시아 민화나 푸슈킨의 작품이 많다. 작품에는 <잿빛 늑대>와 <개구리 공주>등이 있다. <바닷가의 언저리>의 삽화는 푸슈킨의 시와 잘 조화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러시아의 민화 <은빛 말>은 셋째 아들 바보 이반이 장난꾸러기 말을 도와주어 그 대가로 공주와 결혼한다는 이야기이며 러시아의 풍습을 강한 터치로 그림을 그렸다.
|
1974 작가상 |
| Maria Gripe (마리아 그리페) (1923 ~ ) - 스웨덴 스톡홀름 근교 도시 박스홀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1972년에 스웨덴 그림책 대상 엘자 베스콥상을 수상한 삽화화가 하라르도 그리페로 마리아의 작품에 삽화를 그렸다. 안데르센만이 진정한 작가라고 말하는 아버지가 마리아가 고등학생 때 썼던 노트를 읽고 조언을 해 주었다. 이것을 계기로 마리아는 시간이 있으면 문장을 쓰며 글을 지었다. 스톡홀름대학에서 철학과 종교사를 공부하였다. 아동문학을 쓰기 시작한 계기는 책을 읽자고 조르는 딸을 위해 이야기를 만들고 나서부터이다. 54년에 첫 번째 탁품, 동물이 사는 마을의 환타지 I var Lillastad를 발표하였다. 작가로 주목받은 작품은 어려도 결코 단순하지 않은 막내 소녀 조세핀의 내면을 생생하게 그린 <내 작은 친구>이다. 북유럽 신화와 민화 전승을 소재로 해서 자유로운 상상을 펼칠 수 있는 독자적인 세계를 만들어 주는 한편, 인간 심리 통찰에도 뛰어나다. 72년에는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 상을 다수 수상하였다.
| |
1974 화가상 | | Farshid Mesghali (파시드 메스크하리) (1943 ~ ) - 이란
|
1972 작가상 |
| Scott O'Dell (스코트 오델) (1899 ~ 1989) -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옥시덴탈대학, 윈스콘신대학, 스탠포드대학에 입학했지만 수업에 불만을 느껴 중퇴하였다. 20년대에는 영화 회사,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공군, 40년대에는 신문, 잡지 편집 등 다양한 일에 종사하였다. 50년대부터 어른을 위한 평론과 소설을 썼다. 아이들을 위한 최초의 작품은 60년에 출판하였다. 19세기 중반 캘리포니아 해안의 섬에서 18년간이나 홀로 지내며 성장한 인디언 소녀 이야기 <푸른 돌고래 섬>을 발표해 61년 뉴베리상과 61년도 국제 안데르센상 본상 리스트 등에 선발되어 영화화되었다. 연이어 소년의 마음의 움직임을 회상 형식으로 만든 <황금의 일곱 도시>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16세기에 황금탑사단 스페인 원정대가 미지의 땅을 찾기 위해 지도를 만드는데 에스테반이라는 소년이 참가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나바호족이 백인에게 고향을 뺏긴 역사적 사건을 나바호 인디언 소녀와 이야기를 주고 받은 <달빛 노래> 등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주로 미국 서부를 무대로 한 역사를 제재로 해서 엄격한 상황속의 인간상을 강력하게 그린 작품이 많다.
| |
1972 화가상 | | Ib Spang Olsen (이브 스팡 올센) (1921 ~ ) - 덴마크
|
1970 작가상 |
| Gianni Todari (지아니 로다리) (1920 ~ 1980) - 이탈리아 피에몬테주 오메냐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빵집의 아들로 자라나 사범학교 졸업 후 교사를 하면서 대학에서 외국문학 등을 배웠다. 나치 점령과 동시에 대학을 중퇴하고 레지스탕스운동에 참가하였다. 47년부터 공산당기관지의 기자가 되어 어린이 신문 편집에 종사하며 어린이를 위한 <구전동요> 형식의 시와 극, 동화를 썼다. 그 후 로마에서 일간지 Paese Sera 의 기자로 아동문학란을 담당하였다. 문화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의 입장에서 어린이의 가치를 인정함과 동시에 <동화는 정신 교육의 역할>이라는 신념을 가지며 저작활동을 계속하였다. <치폴리노의 모험>과 <거짓말 나라의 제르소미노>등 가난한 사람들과 어린이에 대한 공감과 새로움, 그리고 부정과 파시즘에 대한 저항을 꿰뚫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단편집 <여보세요....통화중>은 시인으로서 재미있는 소재를 발견한 작품이다.
| |
1970 화가상 | | Maurice Sendak (모리스 샌닥) (1928 ~ ) -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5번가에 있는 유명한 장난감 전문점 FAO Schwartz의 디스플레이를 하였고 참신하고 아티스트의 센스가 넘쳐흐르는 재능을 발휘하였다. 그 후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근원에 둔 아득한 세계와 새로운 세계가 공존하는 기묘한 이미지와, 그 만의 독특한 유머, 애니메이션적인 요소, 여유 있는 색감을 구사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이다. 1963년에 출간한 <괴물들이 사는 나라>는 엄마에게 혼이 나고 혼자서 방에 있게 된 소년이 공상의 여행은 물론 유머러스한 괴물들을 만나게 되는 모험심과 불안한 마음을 배경으로 한 신비한 모험 세계를 잘 묘사하여 칼데콧 상을 수상하였다. 꿈을 주제로 한 <깊은 밤 부엌에서>등 아이들 특유의 의식공간을 확실한 디자인과 색채감각으로 훌륭히 이루어낸 작품세계로 오랫동안 아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
1968 작가상 | | Jiri Tanka (이리 트룬카) (1912-1969) - 구 체코슬로바키아 | |
| Jose Maria Sanchez-silva (조세마리아 신체스 실바) (1911-2002) - 스페인 | ||
1968 화가상 | | James Kruss (제임스 크루스) (1926-1997) - 독일
|
1966 작가상
| | Tove Jansson (토베 얀손) (1914-2001) | |
1966 화가상 |
| Alois Carigit (아로이스 카리젯) (1902-1985) - 스위스 |
1964 | | Rene Guillot (르네 기요) (1900-1969) - 프랑스 |
1962 | | Meindert Dejong (메인더트 데종) (1906-1991) - 미국
|
1960 | | Erich Kastner (에리히 캐스트너) (1899-1974) - 독일 |
1958 | |
Astrid Lindgren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 (1907-2002) - 스웨덴 스웨덴 남부의 벤메르비에 사남매 중 둘째로 태어난 아스트리드는 마음이 따뜻한 부모님과 거대한 자연에 둘러싸여 자유롭게 지내며, 최상의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부터 수려한 글재주가 있는 그녀는 어머니가 되고 나서부터 작가로서 인생을 꽃피운다. 7살 난 딸이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졸랐는데, 그때마다 자신이 만든 이야기를 들려주게 되었다. 이 이야기가 45년에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으로 출판되자마자 58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고, 말광량이 삐삐는 전세계 어린이들에게 사랑받는 소녀가 되었다. 출판사에서 어린이 책 편집에 종사하는 한편 집필을 계속하였다. 부모를 찾기 위해 여행하러 다닌 <라스무스 방랑자>로 국제 안데르센상의 영예를 안았다. <라스쿠스와 방랑자>는 멋진 아이의 눈빛을 따뜻함과 상상력으로 받아들여서 그렸다고 평가받았다. |
1956 | |
Eleanor Farjeon (엘리너 파전) (1881-1965) - 영국 제 1회 국제 안데르센상에 빛나는 우화와 전설을 모은 단편집 <보리와 임금님>, 작가 엘리너 파전은 소설가 아버지를 둔 순수한 런던아이로 4살 위인 오빠 하리와 공상을 즐긴 것이 창작 세계의 원천이 되었다. 30살이 지나 런던을 소재로한 난센스 시집을 출판하고, 21년에 <사과밭의 마틴과 피핀>으로 작가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그녀는 극의 각본도 손수 쓰며 다채로운 집필활동을 계속한다. 카네기상을 수상한 <보리와 임금님>은 전통적인 요정이야기를 밑바탕으로 해서 우화적인 요소를 가진 27편의 이야기가 수록된 단편집이다. 이것은 엘리너 작품의 기초가 되었다. 한 줌의 보리가 수 천년의 날이 지나 풍부한 열매를 지금도 전달하고 있다는 서두를 시작으로 자유로운 공상을 구사한 판타지와 유머가 넘치는 난센스, 시적인 작풍으로 파전의 독자적인 창작세계를 넓혀 갔다. |